🏠 국내 뉴스
4월 수출, 전년 대비 3.7% 증가한 582억달러…역대 4월 중 최대
최근 미국의 관세 부과 영향으로 한국의 대미 수출이 6.8% 줄고, 자동차 수출도 3.8% 감소. 관세로 인한 수출 경쟁력 약화가 주요 원인으로, 자동차 등 주요 산업에 타격이 예상됨.
금융위, 가상자산 시장 급변동 제어 방안 논의
금융위원회가 가상자산위원회 4차 회의를 열고, 최근 가격 급변동을 막기 위한 제도적 방안 논의. 가상자산 시장의 불안정성에 대한 정책적 대응 필요성 부각.
국내 금융사 해킹 시도 급증, 북한 연계 정황
올해 국내 금융사 대상 해킹 시도 1,100만 건 기록, 지난해 6,800만 건에 이어 여전히 높은 수준. 북한의 해킹 수법과 IP 대역 활용이 많아 보안 체계 강화 필요성 대두.
LPG 프로판 가격 동결, 부탄 가격 인상
국내 LPG 업계가 5월 프로판 가스 가격은 석 달 연속 동결, 부탄 가격만 인상 결정. 가정 및 산업용 에너지 비용에 영향.
AI·반도체 기술 패권 경쟁, ‘AI Tech 2025’ 컨퍼런스 주목
딥테크 유튜브 채널 ‘에스오디’ 권순용 대표, AI와 반도체 패권 경쟁, 생성형 AI의 실무 적용 사례를 조명할 예정. 트럼프 2.0 시대 기술 시장 변동성, 반도체 공급 경쟁 등 현안 부각.
프랜차이즈 M&A 시장 침체, 투자심리 위축
경기 불황과 투자심리 위축으로 프랜차이즈 M&A 시장 침체 지속. 더본코리아 등 일부 기업이 매수 후보로 주목받는 아이러니한 상황 발생.
친환경 작물 무름병 방제제 출시, 농가 보급 본격화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특허기술을 활용한 친환경 방제제 개발, 농가에 본격 보급 시작. 농업 분야 지속가능성 강화 기대.
발베사·팁소보·엑스포비오, 암질환심의 통과…엔허투 급여 확대는 불발
FGFR억제제 '발베사(성분명 얼다피티닙)', IDH1억제제 '팁소보(성분명 이보시데닙)', XPO1억제제 '엑스포비오(성분명 셀리넥서)'의 급여 신설이 암질환심의위원회를 통과.
세 가지 새로운 항암제가 건강보험 혜택 대상이 되도록 결정되었고, 이 결정이 암 관련 심의 위원회를 통과했다는 소식. 환자들은 이 약들을 더 낮은 비용으로 치료에 사용할 수 있게 된 것
반면, HER2 양성 유방암 치료제 '엔허투'의 급여 확대는 불발됨. 이는 환자들의 치료 접근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용어 해설:
1. FGFR 억제제 '발베사(얼다피티닙)'
- FGFR: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수용체(Fibroblast Growth Factor Receptor)라는 단백질. 일부 암세포는 이 수용체가 과도하게 활성화돼 암이 자라는데, 이걸 억제하는 약이 바로 FGFR 억제제임.
- 발베사 (얼다피티닙): FGFR 억제 성분을 가진 항암제임. 주로 방광암 등 특정 암에서 사용.
2. IDH1 억제제 '팁소보(이보시데닙)'
- IDH1: 세포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인데, 일부 암에서는 이 효소에 변이가 생겨 암세포 성장을 도움. 이걸 차단하는 게 IDH1 억제제임.
- 팁소보 (이보시데닙): IDH1 유전자 변이가 있는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 치료제임.
3. XPO1 억제제 '엑스포비오(셀리넥서)'
- XPO1: 세포 내 단백질을 밖으로 내보내는 역할을 하는 단백질인데, 암세포에서 이 기능이 과도해질 수 있음. XPO1을 억제하면 암세포의 생존에 필요한 단백질 흐름을 막을 수 있음.
- 엑스포비오 (셀리넥서): 이 단백질을 억제해서 다발골수종(골수암의 일종) 등을 치료하는 약.
4. 급여 신설
- 건강보험에서 약값을 일부 지원해주기로 결정한 것을 의미. 환자 부담이 줄어듦.
5. 암질환심의위원회
- 항암제나 암 관련 치료법이 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심의하는 정부 기관.
🌍 국제 뉴스
미국 1분기 GDP 감소, 경기 침체 우려
미국 1분기 GDP 0.3% 감소, 전분기 2.4% 증가에서 급격한 역전. 트럼프발 무역전쟁과 관세 정책이 경제에 부담으로 작용. S&P500 등 주요 증시 변동성 확대, 경기 침체 우려 고조.
스웨덴 우프살라 총격 사건, 3명 사망
스웨덴 우프살라에서 총격 사건 발생, 3명 사망 확인. 유럽 내 총기 범죄 및 치안 문제 재조명.
중국, 오픈소스 AI 모델 확산 주도
알리바바 등 중국 주요 빅테크 기업, 오픈소스 AI 모델 개발 및 공개 확대. 중국은 미국에 이어 세계 2위 오픈소스 AI 모델 보유국으로 부상. 개발비 절감과 글로벌 시장 접근성 강화가 배경.
캐나다 원자재 가격지수 상승, 인플레이션 우려
캐나다 4월 원자재 가격지수(RMPI) 0.3% 상승, 5월 전망은 -1.1%로 하락세 전환 예상. 원자재 가격 변동이 제조업 및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 주목.
인도, 디지털 접근성 기본권 인정
인도 대법원, 포괄적 디지털 접근성이 생명권의 핵심 요소임을 판시. 디지털 격차 해소와 정보 접근성 확대의 중요성 부각.
🧐 시사점
- 글로벌 무역환경 변화가 한국 수출에 직접적 타격
트럼프발 관세 정책 등 보호무역주의 강화가 한국 수출 감소로 이어지는 양상. 정부 차원의 통상 대응 및 산업 경쟁력 강화 전략 필요성 대두. - AI·반도체 패권 경쟁, 오픈소스 전략이 핵심 변수
중국과 미국 중심의 AI 오픈소스 경쟁이 심화. 국내 기업 및 연구기관의 글로벌 협력과 기술 자립 필요성 강조. - 금융·에너지·보안 등 실물경제 리스크 확대
가상자산 시장 변동성, 해킹 시도 급증, 에너지 가격 변동 등이 경제 전반의 불확실성 요인으로 작용. - 국제정세 불확실성, 경제·안보 동시 위협
미국 정치 불안(탄핵안 발의),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 유럽 내 치안 문제 등 복합적 위기 상황 전개.